
지반공학 연구실
지반공학연구실은 연약한 해양 연약지반 및 준설매립 된 지반에 건설되는 해안 및 항만구조물과 육상에 설치되는 토목구조물의 해석, 설계, 시공 및 유지관리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.
연구실 소개
지반공학 연구실에서는 연약한 해양 자연지반 및 준설매립 된 지반에 건설되는 해안 및 항만, 토목구조물의 설계를 위해 원위치 현장지반조사[피에조콘(CPTu), 딜라토메터(DMT), 탄성파 피에조콘 (Seismic-CPTu), 흙-함수량 피에조콘(Soil Moisture CPTu)] 장비들의 조합을 통한 합리적인 지반설계정수 도출과 각 조사장비 실험결과의 분석을 위해서 최적화기법(Optimization Technique) 및 인공 지능(Artificial Intelligence) 이론을 도입한 스마트해석법(Smart Analysis)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연약지반의 개량을 위한 처리공법의 개발 및 해석기법 개발, 지반의 불확실성을 고려한 개량지반 및 기초구조물의 신뢰성해석(Reliability Analysis) 이론 적용 등을 중심으로 교육과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.
이를 위하여 다양한 원위치 지반조사 기법을 이용한 합리적인 지반설계정수 도출에 대한 연구와 그 결과를 바탕으로 연약한 지반과 지반구조물의 거동해석, 스마트해석법(Smart Analysis) 개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. 또한 해양 지반 및 해저 구조물의 수리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한 실험법의 개발 및 수리안정성 확보를 위한 대책공법의 개발을 지속적으로 수행해 오고 있습니다. 최근에는 다양한 산업폐기물 및 산업부산물을 재활용하여 하천 및 해안의 준설토를 건설재료로 활용하는 저탄소 녹색기술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. 이와 함께 토목구조물의 장수명화를 위한 유지관리 및 모니터링 기술로 각광받고 있는 광섬유센서를 이용한 지반구조물 및 지반보강재의 모니터링에 관한 원천기술 개발 및 실용화를 위한 연구도 매우 활발하게 수행하고 있습니다.
이를 위하여 다양한 원위치 지반조사 기법을 이용한 합리적인 지반설계정수 도출에 대한 연구와 그 결과를 바탕으로 연약한 지반과 지반구조물의 거동해석, 스마트해석법(Smart Analysis) 개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. 또한 해양 지반 및 해저 구조물의 수리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한 실험법의 개발 및 수리안정성 확보를 위한 대책공법의 개발을 지속적으로 수행해 오고 있습니다. 최근에는 다양한 산업폐기물 및 산업부산물을 재활용하여 하천 및 해안의 준설토를 건설재료로 활용하는 저탄소 녹색기술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. 이와 함께 토목구조물의 장수명화를 위한 유지관리 및 모니터링 기술로 각광받고 있는 광섬유센서를 이용한 지반구조물 및 지반보강재의 모니터링에 관한 원천기술 개발 및 실용화를 위한 연구도 매우 활발하게 수행하고 있습니다.
보유 장비 현황
- 피에조콘 및 탄성파 피에조콘 시험기 (Piezocone and Seismic cone Penetrometer)
- SMP CPT 시험기 (Soil Moisture Probe Cone Penetrometer)
- 딜라토메터 시험기 (Flat Dilatometer)
- 지반 수리저항 성능평가 실험기 (Soil Erosion Function Apparatus)
- 대형 일차원 압밀실험기 (Large 1-Dimensional Consolidometer)
최근 연구 주제
광섬유센서를 이용한 지반구조물 및 지반보강재 모니터링 연구
- 광섬유센서를 이용한 스마트텐던(smart tendon) 개발연구
- 스마트텐던을 이용한 지반보강재(인장형 및 압축형 앵커)의 장력 모니터링 기술 개발
- 스마트텐던을 이용한 지반보강재 하중전이 특성 규명 및 설계법 개발
자연상태 및 준설된 연약지반의 거동해석 및 개량공법개발
- 인공지능해석법을 이용한 초연약 준설지반의 압밀 거동 해석법 개발
- 순한자원을 이용한 준설토 개량 기술개발 및 거동해석 기술
- 순환자원을 이용한 고침투, 고유동 그라우트 재료 개발 및 복합지반 거동평가 연구
해양 및 항만구조물 기초지반 수리안정성 평가 및 안정화 공법 개발
- 해양 지반의 수리저항 성능평가 실험기 개량 및 평가법
- 지반 수리저항능력을 바탕으로 한 해저구조물 안정성 평가 기술 개발
원위치시험의 해석 및 활용연구 : CPT 및 Seismic-CPT, DMT 및 Seismic-DMT
- 피에조콘 및 탄성파 피에조콘을 이용한 흙분류, 강도정수 평가, 압축특성 평가
- 딜라토메터 및 탄성파 딜라토메터를 이용한 흙분류, 강도정수 평가, 압축특성 평가
- 인공지능이론을 이용한 원위치 시험 해석법 개발 : 흙분류법, 선행압밀하중 예측모델 등
수행중 국책 연구과제
- 2차원 대형 파랑-흐름 복합수조를 이용한 터빈의 성능평가 및 기초지반 수리안정성 확보 기술 개발, 초장대 교량사업단, 한국건설기술교통평가원, 2009~현재
- 지반구조물 유지관리를 위한 스마트 보강 시스템 개발, KAIST 스마트사회기반시설연구센터, 교육과학기술부, 2006년~현재
- 순환 산업부산물을 이용한 수평?연직배수재용 인공골재 생산, 한국산업단지공단, 지식경제부, 2009년~현재
- 고침투 그라우트 및 고유동 충전재의 지반 적용성 평가, 에너지기술평가원, 지식경제부, 2009년~현재
연구실 구성원
성명 | 과정 | 이메일 |
---|---|---|
정신현 | 석사과정2년 | wjdtlsgus1@naver.com |
DO MANH TAN | 학부과정2년 | domanhtan@khoaxaydung.edu.vn |
임재성 | 석사과정1년 | |
손문 | 학과과정4년 | son2464@hanmail.net |
김정현 | 학과과정3년 | |
이대건 | 학과과정3년 | basket1027@naver.com |